다시 한 번 느끼는 명불허전
대가들의 책은 역시 읽고 나면 느끼는 게 많다.
빈곤의 종말, 만들어진 신, 88만원 세대 등




우리 사회는 왜 민주주의를 경제와 연관시키지 않는걸까?
경제와 관련된 이슈가 왜 논의의 중심에 있는 적이 있는 걸까?
비정규직 문제가 홍준표의 반값 아파트 만큼 이슈가 되었던가?

난 우리 사회가 지난 80년 이 후 민주주의가 발전 했다는 생각은
별로 하지 않는다. 물론 절차적인 부문에서 민주주의가 아니라 경제 부문이다.
내가 아는 민주주의란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밥과 집, 그리고 좋은 약을
제공해 준다는 의미이다.
(물론 민주주의란 내가 원하는 세상이고 좋은 나라이고)

주택 복권 1억 당첨으로 집을 살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갔고
아이들은 학원에서 좀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선택 진료비란
명목으로 의료비는 비싸만 지고 있다.

비정규직은 말할 필요도 없고.

크게 2가지 의문이 든다.
하나는 서울 상류 대학을 나오고 대기업에 다니는 나 같은 놈이 왜
민주주의와 평등한 세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일까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럼 어떤 이슈로 우리 사회에 민주주의와 경제를 연관시킬 수 
있을까이다.

첫번째 문제는 답이 없는 넋두리로 맺음을 할까 한다.
나에게는 어쩜 잘 살아보자는 라는 욕망이 훨씬 강하다. 그래서
난 세상이 지금처럼 불공평한 20:80 사회가 지속되었으면 한다.
그래야 내가 상위 몇 % 들어간 경우 살기 편해지니까?
주식하고 집 잘 사서 나도 부자되고 싶다. 
머 이런 생각.

두번째 문제는 어떤 이슈가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줘서 우리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첫 단추가 될까라는 것이다.

홍준표의 반값 아파트는 그런 측면에서 참으로 적절한 문제제기라고 생각한다. 
우리 나라에서 집 논란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이므로로 아주 유효하다. 건방진 말이지만 만약 비정규직 문제를 이슈를 삼는다면
열심히 공부해서 공무원되고 대기업 들어가면 되지라는 말에 반박하기
쉽지가 않다.

대학 등록금 100만원 이 건 어떨까? 
민주당이나 민노당에서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첫 단추로 
대학 등록금 이야기를 아주 강력하게 의제로 삼는다면. 

대학은 우리 사회 많은 사람이 느끼는 공감대이고
실제 일반 중산층들도 등록금이 비싸다는 것에는
공감대가 크므로 비교적 사람들에게 동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을까?

세부 실행 방안을 무시하고
만약 등록금 100만원(유럽 대부분의 나라가 그런 것 처럼) 시대가 가능해서 
민주주의란 복지국가란 이런 것이다. 라는 공감대가 형성이 된다면.

한나라당이 아니라 민주당 민노당이 집권하면 그런 세상이 온다라고 하면 
사람들이 좀 더 피부로 느끼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