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학원] 역사란 현재와 대화다 -2
ER22
2009. 7. 31. 21:48
기본 논의 방향
- 심화 탐구 : 시간, 공간의 비교
- 지금이라 생각하고 선택을 한다면
- 백지에서 시작한다.
- 역사 과목은 암기 과목이 아니다. 시대의 흐름을 생각한다.
조선하면 떠오르는 것들
- 1392년 건국, 1910년 한일 합병
- 이성계, 정도전, 조선왕조실록, 세종 대왕, 장영실, 측우기, 숭례문, 흥인지문
- 임진왜란, 이순신, 한글, 실학, 정약용, 당파 싸움, 영조/정조
- 임꺽정, 홍경래, 동학, 양반제도, 홍길동전, 조선 민화, 김홍도, 신윤복
- 병자호란, 정조, 광해군, 실리외교, 유교, 이이/이황
- 세계의 흐름에서 동떨어져 있었다.
- 유학이 중심되는 세계였다.
- 사대주의
- 어때 부정적인 측면이 너무 많지 않나?
한글은 대단하잖아
그 시절 세계는?
- 15세기 르네상스, 18세기 계몽사상, 16,17세기 자연 과학의 발전
- 17세기 산업 혁명
- 명, 청 교체 시기
왜 고려 시절 이 후로는 중국과 대결하는 외교 정책이 없어졌을까?
- 유교 풍습 때문에
그게 조선 시대의 일시적인 성향이라면 지금은 어떠한가?
우리와 미국의 관계
북한은 어떠한가? 중국과 소련과의 관계는 자주적이라 그러던데
- 침략 전쟁은 없었나?
고려, 조선의 영토 확장. 왜 일본은 안 쳤나?
일제시대
신라, 고구려, 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