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 151호 리뷰

Posted at 2010. 8. 5. 13:50// Posted in 책을 쓰자
시사인 151호 


내부 고발자 VS 행동하는 양심
이번 호 국정원, 위키리크스는 내부 고발자 혹은 행동하는 양심으로 같이 읽을 수 있는 기사다. 최근 채수창 강북 경찰서장 항명도 같은 범주이고.

난 여기에서 이러한 내부 고발자(다른 긍정적 의미의 단어가 잘 생각이 안 난다.)들의 실제 삶이 궁금하다. 위키리크스 기사의 대니얼 앨스버그는 사진에서 보니 신세가 훤한 것 같다. 79세에 박사까지 사회적으로 존경도 받는 인물인 것 같고. 그에 비해서 우리 나라는 어떨까? 대표적으로 <삼성을 생각한다> 김용철 변호사님은 잘 살고 있을까? 딴지일보 인터뷰(http://bit.ly/9mmPFG)를 보니 그렇게 웃기고 약간은 엉뚱해서 딴지일보스러운 분이 없던데 언론에 알려지기는 이혼남에 정신 이상자로 알려져서 세상의 질타를 받고 있다. 반대로 박종철 고문 사건의 안상수 대표는 잘 사는 것 같고.

우리도 위키리크스 처럼 이런 사이트를 만들 수 없을까? 어디 기부를 받아서 아예 재단 설립을 하면 어떨까? 이 분들 모두 ‘밥은 먹고 다닐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도록. 물론 태생적 연관이 깊은 ‘시사인’이 앞장서면 좋고. ㅎㅎ

음.. 그리고 어떤 말이 좋을까? 부정적인 어감이 드는 내부 고발자, 폭로 이 외 뭔가 다른 단어가 있으면 좋겠는데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우리가 필요한 건 관심 혹은 애정, 실천?
‘최저 생계비 체험’ 이 기사를 쓴 기자의 어려움, 한숨이 아주 잘 느껴진 기사였다. 그만큼 숫자 하나하나가 살아서 내 가슴에 박히고 있다. 8만 7000원 짜리 반지하 방의 곰팡이들, 5000원 짜리 백반 한 번 먹는 것, 달걀 60개. 기사를 쓰고 있는 모니터 너머의 기자의 안타까움이 보이는 듯 했다. 그리고 공감이 많이 갔다. 대학 시절 1000원 짜리 학생 식당 밥도 궁했던 시절에 연애란 사치요 친구들과 돈이 없어서 만나지 못했던 ‘관계 단절’의 힘들었던 기억이 선명히 다가왔다. 잃어버렸던 ‘평등을 향한 연대’가 다시 한 번 떠오른다.

권용선 님의 에세이와 비교되면서 새삼 기자님의 진심에 감사를 표현하고 싶다.

머리 좋은 것이 마음 좋은 것만 못하고,
마음 좋은 것이 손 좋은 것만 못하고,
손 좋은 것이 발 좋은 것만 못한 법입니다.

관심 보다는 애정이, 
애정 보다는 실천이,
실천 보다는 입장이 더욱 중요 합니다.
입장의 동일함 그것은 관계의 최고 형태 입니다.

다시 한 번 떠오르는 신용복 님의 글이다.

‘평범한 중년의 활동가들’
활동가 한 명 한 명 그 한 명 한 명 사람에 주목한 이번 ‘4대강 바벨탑’ 기사 좋았다. 그 순하디 순한 평균 나이 43세의 다섯 명의 중년들, 고소공포증이 있어 답답하게도 30분 넘게 크레인을 올라가야 하는 분들의 진실함이 잘 느껴졌다. 트위터 전문을 기사에 인용해서 그 분들의 실제 목소리를 듣는 것도 신선했다. 다시 한 번 느끼지만 실제 발언권을 누가 가지는 냐에 따라서 전달되는 정보의 진실은 많은 부분 달라진다는 것을 느꼈다. 그들과 같은 평범한 회사원으로 그들의 마지막 멘트인 ‘살아 있습니다. 인간답게 살고 싶습니다.’의 울림은 크게 다가왔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기사에서 그분들의 약력 소개 수준에 그쳤는데 한 분 정도는 따로 박스 기사로 떼어내서 자세하게 소개를 해 주셨으면 어땠을까? 단순 나열식이라 감동을 주기에는 미흡했다.

<하우스 푸어>
이번 호 <하우스 푸어> 책 소개 기사는 아쉽다. 물론 시사인 기자가 아닌 외부 필진의 기사 이지만. ‘하우스 푸어’가 앞으로 ‘블루 오션’, ‘88만원 세대’처럼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개념어가 될 것이다, ‘자가 거주율’ ‘공급 부족’의 오류를 지적하는 것에 내용이 그치고 있다. 필자이신 '시골 의사'님은 다소 현학적인 설명에 그쳐서 정작 이 책의 핵심인 일반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겪는 고통, 그리고 그 고통 너머의 사람들의 대박 혹은 자본에 대한 헛된 욕망을 밝히는 것을 놓치고 있다.

많은 일간지와 중복되기는 하지만 실제 주택 대출 비용으로 어려운 일반 월급쟁이들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소개하는 게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 미국에서는 오히려 경제 불황 시기를 사람들의 가치관이 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여기는 사람들도 많았다. 실제 자본, 물질의 가치를 넘어서서 자연과 소박한 일상에서 그동안 잃고 살았던 삶의 대안적 가치를 발견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었다. 우리 나라에도 집에 대한 환상이 깨지면서 점차 이러한 가치에 주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데 이러한 사람들의 실제 이야기에 주목해야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기타
. 편집국장님의 중국 관련 외교 관계 관련 내용이 2주 연속 나오고 있다. 굉장히 궁금하다. 자세한 후속 기사를 중국 특집으로 밝혀 주었으면 한다. 정녕 우리 나라는 1세기 전처럼 다시 한 번 강대국의 꼭두각시가 되고 있는 건가?

. 유장관의 ‘김정일 밑에 가서 살아야지’는 말은 정말 평균적인 우리 나라 기득권 세력의 인식을 대표하는 표현이라 생각한다. 이 분들의 머릿속을 자세히 해부하는 만화 혹은 에세이를 기대한다.

. 이정희 인터뷰는 기자가 던진 질문의 집요한 편향성이 오히려 좋았다. 어차피 주간지에서 바라는 게 일간지의 단순한 정보 전달, 객관성이 아닌 관점이 선명한 의견이기에.

. 사람 in 의 ‘강남 좌파’ 개념이 궁금하다. 과연 ‘강남 좌파’는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그들의 한계 혹은 기여하는 바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