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글] 행복 수칙 10가지

Posted at 2009. 3. 9. 19:40// Posted in 이런저런 이야기

내 삶의 목적 중 한 가지 혹은 전부는
행복한 삶을 사는 것 이다.
나는 그러기 위해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http://www.samsung.net/service/ms/selectNews.htm

    행복에 관한 학문과 법칙은 넘치지만, 그것을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지의 문제는 온전히 우리의 몫이다. 행복학 전문가에 따르면, 하루에 일어난 일 중 바람직했던 일과 바람직하지 않았던 일, 개선할 점 등을 적는 일이 행복해지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또한 현대 의학은 인간의 생각 자체가 뇌 구성을 바꾼다고 말한다. 행복에 관한 생각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지도 모를 일이다.

낯선 사람이 당신에게 다가와 “당신의 행복은 어디에 있나요?”라고 묻는다면 어떤 생각이 들겠는가. 필자는 지난해 말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100여 명의 시민들을 만나 무작정 ‘당신의 행복’이 무엇인지 물었다. ‘2008년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언제였는가’, ‘행복해지기 위한 당신만의 비법은 뭔가’, ‘당신의 행복지수는 몇 점인가’ 등을 물어 ‘우리 사회 행복의 근원’을 탐색하는 기사를 쓰자는 취지였다.

“행복이요? 어떤 행복을 말하는 거죠?”
대부분의 시민들은 처음 질문을 받고는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었다. 손가락을 하나씩 꼽으면서 1월부터 12월까지 자신이 뭘 했는지 기억을 더듬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질문의 취지를 이해한 뒤엔 답변이 쏟아졌다. ‘행복’이라고 하면 가족, 웃음, 사랑, 희망이 연상된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 따뜻한 커피, 천국, 여행, 남극, 푸른 하늘 등 개성있는 답변이 이어졌다. 행복에 관한 자신의 철학을 장황하게 논하다가 성적이 오른 손자와 취직한 아들 자랑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사람도 있었다. 경제불황으로 삶이 팍팍하지만 사람은 저마다 행복의 비밀을 찾으며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취재가 끝난 후 필자는 지난 2005년 영국의 작은 도시 ‘슬라우’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심리학자, 경영 컨설턴트, 사회사업가 등 여섯 명의 전문가로 이뤄진 행복위원회가 ‘행복의 근원’을 찾는다는 목적으로 계획한 실험이었다. 그들은 ‘행복학’이라는 현대 학문이 공염불이 되지 않고 어떻게 하면 현대인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고민했다.

행복위원회는 고대 플라톤의 행복론에서부터 현대의 긍정심리학에 이르는 인류의 행복 지식을 총망라해 열 가지 행복수칙을 만들었다. 그리고 ‘슬라우’ 주민들에게 그것을 따르도록 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3개월간의 행복 프로젝트가 끝나자 주민들은 “삶이 흥미진진해졌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주민들의 행복지수는 평균 33% 상승했다. 이 이색적인 실험의 전 과정은 영국 BBC방송에 의해 다큐멘터리로 방영돼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행복위원회가 제시한 행복수칙 열 가지는 다음과 같았다.

1. 운동을 하라. 일주일에 3회, 30분씩이면 충분하다.
2. 좋았던 일을 떠올려 보라.
; ; ; 하루를 마무리할 때마다 당신이 감사해야 할 일 다섯 가지를
; ; ; 생각하라.
3. 대화를 나누라.
; ; ; 매주 한 시간은 온전히 배우자나 가장 친한 친구들과 대화를
; ; ; 나누라.

4. 식물을 가꾸라. 아주 작은 화분도 좋다. 죽이지만 말라!
5. TV 시청 시간을 반으로 줄여라.
6. 미소를 짓자.
; ; ;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낯선 사람에게 미소를 짓거나 인사를
; ; ; 하라.

7. 친구에게 전화하라.
; ; ; 오랫동안 소원했던 친구나 지인들에게 연락해서 만날 약속을
; ; ; 하라.
8. 하루에 한 번 유쾌하게 웃으라.
9. 매일 자신에게 작은 선물을 하라.
; ; ; 그리고 그 선물을 즐기는 시간을 가지라.
10. 매일 누군가에게 친절을 베풀라.

행복위원회의 10대 행복수칙 속에는 친구·돈·일·사랑·성생활·가정·음식·긍정적 마음·운동·공동체·반려·동물·웃음·영성 등의 행복의 조건들이 내포되어 있다. 심리학과 의학 등 행복과 관련된 각종 학문들은 각 분야마다 행복에 이르는 꽤 상세하고도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공하고 있다. 중요하지만 자칫 놓치기 쉬운 지침들이다. 10대 행복수칙도 이러한 학문적 지식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먼저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의식주를 해결할 정도의 돈을 소유하고 있다면 여분의 돈이 더 있어도 당신이 느끼는 행복감은 별 차이가 없다. 어느 정도가 최소로 필요한 돈인지는 결국 각자의 판단에 달려 있다. 그 밖에 친구, 연인, 가족 간의 원만한 관계가 삶을 풍부하게 하고 행복감을 맛보게 한다고 각종 연구결과는 말해주고 있다.

건강한 식습관 역시 행복에 이르는 중요한 길 중 하나이며, 과일과 채소 같은 특정 음식은 기분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전문가들은 규칙적인 식사를 강조하며 특히 아침식사를 꼭 챙기도록 조언한다. 신체의 열량 수치가 떨어지면 우울해지기 쉽고 특히 뇌는 포도당을 꾸준히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추천 음식도 있다. 어류에 들어있는 오메가-3 지방산은 뇌 활동을 활발하게 해준다. 견과류, 씨앗, 쌀로 만든 떡, 바나나와 아보카도는 기분을 좋게 하는 화학물질인 세로토닌을 공급해준다. 과학자에 따르면 한 숟가락의 아이스크림은 돈을 벌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처럼 뇌의 쾌락 중추를 활성화한다. 특히 고수, 생강, 페퍼민트, 바벤더 등은 머리를 맑게 하고 피로를 회복하는 효과가 있다.

행복하고 싶다면 충분한 수면도 필수다. 하룻밤만 잠을 못 자도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45%나 상승한다고 한다. 하루에 여덟 시간은 꼭 자야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률적인 원칙은 없다. 체질에 따라 수면시간이 짧은 쇼트 슬리퍼(short sleeper)와 수면시간이 긴 롱 슬리퍼(long sleeper)가 있다.

한 과학자의 실험에 따르면, 쇼트 슬리퍼는 활동적이며 근면한 야심가가 많고 롱 슬리퍼는 사색적인 예술가나 과학자가 많다고 한다. 실례로 나폴레옹의 수면시간은 세 시간 밖에 되지 않았고 아인슈타인의 수면시간은 평균 열 시간 이상이었다. 밤에 꾸는 꿈은 뇌가 창조적 유희를 즐기고 인생의 온갖 시름을 잊도록 심리적 안정을 준다. 결국 자신에게 맞는 수면리듬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한 심리학자가 일 년에 몇 명의 잠자리 파트너가 있어야 가장 행복한지 조사해 봤더니, ‘한 명’이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두 사람이 처음 만난 후 18개월 동안 잠자리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다. 이것이 임신과 짝짓기를 위해 진화적으로 고안된 패턴이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잠자리의 횟수가 자연스럽게 줄어든다. 그러므로 죄의식을 느끼거나 서로에 대한 관심이 식은 것은 아닌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사랑하는 한 명의 파트너와 만족스러운 잠자리를 나누는 방법을 찾는 것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는 것이다.

적당한 운동이 건강에 좋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운동은 항스트레스 호르몬인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시키고 뇌세포 성장을 돕는다. 유산소 운동은 뇌에 산소를 더 많이 전달해 정신활동을 더욱 활성화시킨다. 일주일에 세 번씩 30분간 느긋하게 걷기만 해도 학습 능력, 집중력, 추상적 사고 능력이 15% 이상 향상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행복위원회의 행복 프로젝트에는 마을 묘지에서 명상을 하는 모임도 포함됐다. 실험 참여자들에게 죽음이 현실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삶에 안주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주기 위해서였다. 일반적으로 명상은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낮춰 행복감을 높이는 효과를 낸다. 2005년 미국에서 이뤄진 연구 결과, 명상에 참여한 사람의 심장질환 발생률은 30%, 암 발생률은 49%나 낮았다고 한다. 단전호흡, 뇌호흡, 기체조, 요가 등 선택할 수 있는 명상법은 많다. 각종 종교 역시 훌륭한 명상법을 제공한다.

자신의 행복지수를 측정해 보는 방법은 없을까. 행복위원회가 슬라우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직관적으로 대답한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65점이었고, 정밀한 측정법에 의한 점수는 평균 62점이었다. 정밀한 방법이 직관적 방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이다. 시청 앞 광장에서 만난 시민들의 평균 행복점수는 75점이었다. 당신의 행복점수는 몇 점인가.

1. <;표1>;의 15항목에서 나온 점수를 모두 더하면 당신의 긍정점수(P)가 된다.
2. <;표2>;의 15항목에서 나온 점수를 모두 더하면 당신의 부정점수(N)가 된다.
3. 긍정점수에서 부정점수를 뺀 후 135점을 더하면(P-N+135) 당신의 기본 행복점수가 된다.
4. <;점수변환표>;를 통해 당신의 행복지수가 100점 만점에 몇 점인지 확인할 수 있다. (기본 행복점수에 상응하는 환산값 참고)

- 이종찬 / 중앙일보 사회부 기자

//